본문 바로가기
건강나라

B형 간염은 원인과 증상

by dreambae100 2016. 9. 20.
반응형

B형 간염은 원인과 증상

 

B형감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(Hepatitis B Virus, HBV) 감염은 전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경변이나 간세포암과 같은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

 

. 우리나라는 간세포암의 약 70%B형간염과 연관이 있으며, B형간염으로 인한 간세포암 발생률이 매우 높은 국가입니다

 

원인은 원인병원체 : B형간염 바이러스(Hepatitis B Virus, HBV)

감염경로은 모자간 주산기 감염, 혈액, 성접촉 등으로 전파된다고 합니다

 

B형감염 증상은

급성으로 황달, 흑뇨, 식욕부진, 오심, 근육통, 심한 피로, 우상복부 압통 등이 나타나나 무증상 감염도 있을 수 있을수 있습니다

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임상증상 및 간기능 검사 상 이상이 회복되고 바이러스가 제거되지만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HBsAg 양성을 보이는 경우 만성간염으로 이행됩니다

 

임상실험은

잠복기 : 60~150(평균 90)

비특이적 증상 : 피로감, 식욕부진, 구역, 구토, 우상복부 통증, 미열, 두통, 근육통, 피부발진, 관절통 및 관절염 등황달

증상 발현 비율 : 5세 미만 < 10%, 5세 이상 30~50%

합병증 : 전격성 간염, 만성 간염, 간경변, 간세포암

 

진단은

혈청검사 : HBsAg, anti-HBs, HBeAg, anti-HBe, anti-HBc(IgM, IgG)

분자생물학 검사 : HBV-DNA

 

치료는

급성간염 : 안정, 고영양 식이 등

만성간염 : 안정, 식이요법, 항바이러스제 치료 등

 

 

예방접종은

접종대상은 B형간염 고위험군

-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

-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 받아야 하는 환자

 

 

-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

- 주사용 약물 중독자

- 의료기관 종사자,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

- 성매개질환의 노출 위험이 큰 집단

 

접종시기 : 영아는 생후 0, 1, 6개월 일정, 소아 및 성인은 0, 1, 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 좋습니다

 

반응형

댓글


목차